참고자료

마곡지구개발계획

길벗 道伴 2007. 12. 28. 20:28
[Zoom in 서울] 서울 마곡 수변도시 건설 본격화
[서울신문] 2007년 12월 27일(목) 오전 03:45   가| 이메일| 프린트
[서울신문]서울의 마지막 미개발지인 마곡지구가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1만 2000여가구의 주택과 워터프런트(수변도시) 등이 어우러진 마곡신도시 개발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서울시는 26일 강서구 마곡동 및 가양동 일대 자연녹지 약 336만 4000㎡에 대한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을 건설교통부가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2005년 12월 마곡지구기본구상안을 마련한 뒤 주민 공청회,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개발계획을 수립, 지난 6월 건교부에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승인을 신청했으나 광역교통계획 수립 문제로 승인이 늦어졌다. 이는 절차상 도시개발구역 지정에 앞서 광역교통계획을 수립해야 하나 서울시가 빠른 사업추진을 위해 구역지정 신청과 광역교통계획 수립을 병행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는 건교부의 개발계획 승인에 따라 올 하반기 감정평가를 거쳐 내년 상반기 보상을 마친 뒤 환경영향·교통영향·재해영향평가 등을 거쳐 내년 10월 말까지 실시계획 인가를 받아 2009년 초 착공할 계획이다. 완공은 2031년 예정이다.



친환경적 수변도시로 탈바꿈

지난 4월 확정된 마곡지구 개발계획에 따르면 마곡지구는 주거지역(66만 2986㎡), 연구개발(R&D)용지(74만 9259㎡), 국제업무단지(35만 7586㎡), 일반상업용지(9만 7252㎡) 등으로 나눠 차세대 성장을 이끌 친환경 첨단도시로 개발된다. 주거지역에는 1만 2150가구의 주택이 건립돼 3만 4020명의 인구를 수용하게 된다.

마곡지구는 SH공사가 대부분 사유지인 토지를 보상, 수용하고 기반시설의 공급과 부지 조성 등을 추진하는 공영개발방식으로 개발되며,1단계로 2015년까지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과 중심지역을 우선 개발해 269만 2000㎡를 공급하는 데 이어 2단계(2016∼2023년) 40만㎡,3단계(2024∼2031년) 27만 3000㎡로 나눠 단계적으로 공급된다.



간선급행버스체계 도입

건교부와 서울시는 마곡지구 개발에 따른 광역교통개선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마곡지구에 간선급행버스체계(BRT) 2개 노선을 신설할 계획이다. 건교부와 서울시는 현재 비용분담 문제를 논의 중이다.

또 오는 2015년까지 8239억원을 투자해 공항철도 마곡역을 신설하고 강변북로를 기존 8차로에서 12차로로 확장한다. 올림픽대로 목동 및 여의도 진출입 시설 개선, 반포∼청담대교 구간 도로확장 등을 추진한다.

서울∼광명간 고속도로 건설비 지원, 남부순환로∼오정대로간 연결도로 신설, 행주대교남단 교차로도 입체화한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